새소식
- 첨부파일0
- 추천수
- 0
- 조회수
- 1493
질문)
2년 전 지인에게 돈을 빌려주면서, 그 지인 소유의 부동산(아파트)에 저당권을 설정하였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그 지인 채무자가 자동차 사고를 당해 사망하였습니다. 갑작스러운 사고에 안타까운 마음이지만, 저는 채권자로서 빌려준 돈을 받아야 하므로 장례식 후 미망인에게 채무자의 재산 상황을 물어보니 거주 중인 아파트 외에는 재산이 없다고 하고, 상속인들은 무슨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아직도 상속등기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어쩔 수 없이 아파트를 임의경매 신청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변)
대위상속등기를 통해 상속인을 소유자로 표시한 후 임의경매 신청을 해야 할 것입니다. 가끔 이런 문제로 법무사 사무소를 찾아오는 분들이 있는데, 위 사례는 임대인이 자신이 제3채무자로 기입된 가압류 결정의 효력을 잘못 이해하여 생긴 일이라 생각됩니다. 특히 귀하의 경우처럼 채무자가 가까운 지인이고, 더군다나 유족에게 남겨진 재산이 거주 중인 집 한 채 뿐이라면 더욱 그럴 것입니다. 그러나 채권자로서는 채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것이 또 현실입니다.
근저당권 설정 후 임의경매 신청 전 채무자·소유자가 사망한 귀 사례의 경우는 원칙적으로 원 채무자·소유자의 상속인을 채무자(상속채무자)·소유자로 표시하여 임의경매 신청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위 사안처럼 상속인이 어떠한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상속등기를 하지 않고 있다면 채권자가 그 상속인을 대위(대신)하여 상속등기를 경료하고, 이후 임의경매 신청을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먼저 상속대위등기를 하여야 할 것인데, 이때에는 등기에 수반되는 취득세 등의 경비는 채권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즉, 대위등기라 하여 취득세 등 등기에 수반되는 경비를 면제해 주지는 않기 때문에 채권자가 이를 부담하여 등기를 실행해야 하고, 그 비용에 대한 보전은 실제 경매를 신청하여 경매절차를 진행할 때 집행 준비비용으로 보아 집행비용에 산입하여 주는 것이 대다수 법원의 입장입니다. 또한, 상속인이 누구인지 모르는 경우, 상속인 정보는 법원으로부터 보정명령을 통해 서류를 발급받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후 상속인으로 소유권 이전이 된 것을 확인하면 대위등기 절차는 마무리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상속인들 소유로 등기가 완료되었다면, 그 상속인들을 채무자·소유자로 표시하여 임의경매신청을 하면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을 알지 못한 채 사망자를 그대로채무자·소유자로 표시해 경매개시결정을 받는 경우 가 있습니다. 그래도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설사 그렇다 해도 당연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고, 그후 당사자표시 정정을 통해 상대방을 채무자의 상속인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kkkk8185
안녕하세요 상속대위등기에 상속인들과 피상속인의 서류가 없을경우(배우자가 한정승인 신청한경우) 대위자가 채권자로 등기했을때 등기소에는 처음 제출하는 신청서에 편철 하는 첨부서류는 어떤걸 첨부해야 할까요?
10 개월전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